우리가 믿고 있는 그런 '가해자다움'은 없다 우리가 믿고 있는 그런 '가해자다움'은 없다 세상에서 가장 잔혹한 범죄자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겉으로만 봐도 일반적이지 않을, 인간답지 않은 모습일까? 우리는 어느샌가 전형적인 범죄자의 모습을, 가해자다움 모습을 마음속에 가지고 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가해자다움' 속에만 범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이 실패로부터 배우는가? 실패의 심리학 어떤 사람이 실패로부터 배우는가?당신은 지금까지 몇 번의 실패를 경험했는가? 생각보다 우리는 빈번하게 실패를 경험한다. 하지만 그 실패로부터 좌절만 하는 사람과 무엇인가를 얻어가는 사람의 차이는 크다. 과연 누가 실패로부터 배움을 얻고 미래로 발걸음을 내디딜 수 있을까? 신지은 전남대 심리학과 교수 2023-11-24 잡범에 숨겨진 법심리학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잡범에 숨겨진 법심리학얼마전 야당대표의 단식에 대해 법무부 장관의 '잡범' 발언이 화제다. 짧은 에피소드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그 안에도 수 많은 법심리학의 원리가 숨어있다. 그 이야기를 한 번 해 볼까 한다. 이지은 전남경찰청 총경 2023-11-17 예정된 실패를 부르는 마음의 습관 실패의 심리학 예정된 실패를 부르는 마음의 습관"한 번이라도 실패하면 그 인생은 실패한 인생인거야." 압축 성장 시대를 살아온 우리 한국인에게 익숙한 말이다. 어쩌면 우리는 성공으로 향한 외줄타기 인생을 강요당했는지도 모른다. 세상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이 아닌 나는 과연 실패한 사람일까? 한민 아주대 심리학과 겸임교수 2023-11-06 누가 정의의 여신 디케의 눈을 가렸는가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누가 정의의 여신 디케의 눈을 가렸는가무죄인 사람이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였다. 이런 억울한 일이 다 있을까? 최대한 공정하게 죄를 판결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여전히 오판의 피해자는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김민지 숙명여대 사회심리학과 교수 2023-10-25 실패에 대한 책임과 성공의 조건 실패의 심리학 실패에 대한 책임과 성공의 조건실패를 마주했을 때. 실패를 쿨하게 인정하고 스스로에게 책임을 묻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마음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본다. 박선웅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 2023-10-13 엄벌주의로 '이상동기 범죄'를 줄일 수 있을까?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엄벌주의로 '이상동기 범죄'를 줄일 수 있을까?세상이 무섭다는 말을 실감한다. 아무런 이유없이 사람이 범죄의 피해를 입는다. 일명 '묻지마 범죄'라고도 불리는 '이상동기 범죄'를 줄이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정원 한림대 심리학과 교수 2023-10-03
실패가 그렇게 나쁩니까? 실패의 심리학 실패가 그렇게 나쁩니까?성공도 그렇게 만만치 않고 실패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 왜 그럴까? 심리학이 말해주는 실패가 그렇게 나쁘지 않은 이유를 알아보자. 김근향 대구대 심리학과 교수 2023-09-22 치매, 무섭고 싫지만 언젠가 만날지도 모르는...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치매, 무섭고 싫지만 언젠가 만날지도 모르는...모두가 걸리고 싶어하지 않는, 치매. 약물로 치료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예방하려 해 보지만, 모두 피해갈 수만은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시각으로 치매에 걸린 사람들을 바라봐야 할까? 진주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박사 2023-09-15 누구나 겪는 노화, ‘마음의 준비’에 관하여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누구나 겪는 노화, ‘마음의 준비’에 관하여과거에 비해 노년기의 사람들이 건강한 삶을 누리고 있지만 그럼에도 모두는 죽는다. 죽음을 맞이는 마음의 준비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죽음 직전까지 지켜야 하는 개인의 존엄은 왜 아직도 철저히 개인 스스로에게 강요되고 있는가? 공동체심리학자의 시각에서 마음의 준비를 이야기해본다. 정안숙 드폴대 심리학과 교수 2023-09-03 지니 (Genie) 대 자비스 (Jarvis) (4): 자동차 에이전트의 언어 인지/지각 지니 (Genie) 대 자비스 (Jarvis) (4): 자동차 에이전트의 언어이젠 음성으로 기계와 대화하는 시대이다. 자동차에서 나의 운전을 도와주는 에이전트가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까? 전명훈 버지니아공대 산업공학과 교수 2023-08-04 게임에서 배우는 나이듦의 지혜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게임에서 배우는 나이듦의 지혜배움은 반드시 교실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평생발달과 사이버 심리학 박사가 게임을 통해서 느낀 나이듦의 지혜를 이야기 해 본다. 도영임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2023-07-28 실패란 무엇인가? 실패의 심리학 실패란 무엇인가?삶은 성공과 실패의 연속이다. 성공만이 존재한다면 더 좋겠지만, 실패를 피할 수는 없다. 하지만 같은 실패여도, 어느 누구에게는 과거와 좌절이, 어느 누구에게는 미래와 도전이 될 수 있다.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 2023-07-21 백세 시대, 당신의 '마음 시계'는 몇 시인가요?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백세 시대, 당신의 '마음 시계'는 몇 시인가요?백세 시대가 된 오늘날, 몸뿐 아니라 마음을 젊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신의 마음 시계는 지금 몇 시를 가리키고 있는가? 김기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 2023-07-14 자연언어 관점에서 본 챗GPT의 언어 능력 인지/지각 자연언어 관점에서 본 챗GPT의 언어 능력나보다 말을 잘 하는 것 같은 챗GPT의 능력은 나를 소름끼치게 한다. 하지만 과연 챗GPT는 진정한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김남균 계명대 심리학과 교수 2023-07-07 AI는 인간의 심리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을까?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AI는 인간의 심리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을까?챗GPT가 나보다 글을 더 잘 쓴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하는 오늘날 AI는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렇다면 과연 AI는 심리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을까? 최기홍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2023-07-03 인공지능 시대의 진선미: 의심과 분별, 그리고 발견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인공지능 시대의 진선미: 의심과 분별, 그리고 발견인공지능 시대가 열렸고, 많은 것이 변화되었다. 이 변화 속에서 우리는 지금까지 너무나도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것들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인공지능 시대의 진리, 선함, 그리고 아름다움을 이야기해본다. 전명훈 버지니아공대 산업공학과 교수 2023-06-08 AI시대 글쓰기: AI와 심리의 분업 시대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AI시대 글쓰기: AI와 심리의 분업 시대챗GPT의 탄생은 현재 인류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 오고 있다. 나보다 글을 잘 쓸 수 있는 생성형 언어모델과 함께 사는 미래에서의 글쓰기란 어떻게 변화할까? 정혜선 한림대 심리학과 교수 2023-05-26 너 자신을 알라! 인지/지각 너 자신을 알라!소크라테스의 명언 '너 자신을 알라'. 나란 무엇이고, 어떻게 내가 내 자신을 알 수 있는가? 윌리엄 제임스의 자아관을 중심으로 생각해 본다. 김남균 계명대 심리학과 교수 2023-05-18 심리학, AI 시대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다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심리학, AI 시대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다AI는 이젠 우리의 일상에 깊숙히 침투해 버렸다. AI 시대에서 인간의 마음을 다루는 심리학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백종수 연세대 시스템과학융합연구원 교수 2023-05-12 우리 옆에 바짝 다가온 마약: MZ 세대가 새로운 중심이 됐다 세상의 중심에서 심리학을 외치다 우리 옆에 바짝 다가온 마약: MZ 세대가 새로운 중심이 됐다이제 마약 청정국이라는 칭호가 어울리지 않게 된 우리나라. MZ 세대가 새로운 마약의 소비자가 되면서 새로운 마약 소비의 패턴도 발견된다. 이제 우리는 마약이 다른 나라 이야기가 아님을 인정하고,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가야 할 시기이다. 신성만 한동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2023-04-28
후회에 능숙해지는 나이듦: 노년기 의사결정능력의 재발견 후회에 능숙해지는 나이듦: 노년기 의사결정능력의 재발견 신연수 중앙대 심리학과 석사과정우리는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고 싶어하지만, 후회는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후회가 언제나 나쁜 것만은 아니다. 후회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가르침은 무엇일까? 전통축제의 잠재력과 화려한 변신 전통축제의 잠재력과 화려한 변신 이주형 중앙대 심리학과 석사과정심리치료라는 개념조차 없었던 옛날, 그 때에도 마음의 문제는 있었을 것이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아마 그 중심에는 축제가 있지 않았을까? 심리치료의 측면에서 축제를 생각해 본다. 75세인가요, 불행하신가요? 75세인가요, 불행하신가요? 유수하 중앙대학교 노년심리연구실초고령 사회를 눈 앞에 둔 지금, 초고령 노인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 좋다? 수면을 둘러싼 진실 혹은 거짓!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 좋다? 수면을 둘러싼 진실 혹은 거짓! 한가은 중앙대 심리학과 석사과정‘잠은 보약이다’라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잠을 많이 자는 것이 노인에게 도움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