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판단은 늘 정의로운가
상태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의 판단은 늘 정의로운가
  • 2019.07.23 11:00
종교의 자유를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인다. 그러나 자신의 동네에 이슬람사원이 생긴다면 어떨까? Mentovich 연구팀은 사람들의 판단이 상황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정의의 여신Goddess of Justice은 잘잘못을 재는 저울과 함께 긴 칼을 들고 있다. 잘못에 대해서는 엄정한 처벌이 따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 가지 인상적인 것은 두 눈을 가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공정하게 심판해야 한다는 것을 은유하고 있다. 

여러분은 누구에게나 종교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또 누구나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마도 대부분이 이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럼 질문을 조금 바꿔서, 당신이 사는 동네에 이슬람 사원이 생긴다면 찬성하시나요? 또 외국인 노동자의 최저임금(월 175만원, 2019년 기준)이 보장되어야 마땅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마도 이 질문들에 대해서는 그렇다또는 아니다라고 의견이 나뉠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왜 우리는 종교의 자유를 지지하면서도 우리 동네에 이슬람 사원을 짓는 데는 반대를 하게 되고, 왜 공정한 사회를 바라면서도 외국인 노동자의 최저임금 보장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게 되는 걸까요? 인간이란 그저 겉 다르고 속 다른 존재인걸까요?

심리적 거리감과 해석수준

멘토비치와 그 동료들은 언뜻 모순되어 보이는 이러한 현상을 '심리적 거리감'과 '해석수준'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합니다Mentovich, et al., 2016.

그들의 연구를 살펴보기 전에 우선 해석수준에 대해 잠깐 살펴볼게요사람들은 같은 현상을 개인마다, 상황마다 다른 수준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피아노 연주를 보고 어떤 사람은 손가락과 발의 움직임(하위 해석수준)’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연주자의 예술적 표현(상위 해석수준)’  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하위 해석수준에서는 대상의 구체적, 표면적, 비일관적인 속성에 주목하는 반면, 상위 해석수준에서는 대상의 추상적 의미, 본질적, 일관적 속성에 주목하여 대상을 식별합니다. 간단히 말해 하위 해석수준은 ‘how’에 초점을 두는 반면, 상위 해석수준은 ‘why’에 초점을 둡니다. 덧붙여 해석수준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해석수준은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달라집니다. 심리적 거리감이 가까울 때는 하위 해석수준, 심리적 거리감이 멀 때는 상위 해석수준으로요.

다시 돌아가서, 멘트비치와 그 동료들은 사람들이 추상적인 수준(상위 해석수준)에서는 보편적인 정의 원칙에 동의하지만, 구체적인 수준(하위 해석수준)에서는 정의 원칙이 적용되는 대상자(위의 예시에서는 이슬람 신자, 외국인노동자)의 특성에 영향을 받아 정의 판단을 내릴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해석수준에 따라 대상자 특성에 대한 민감도가 달라지는 것이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한 6개의 연구 중 한 실험을 소개하겠습니다.

트롤리의 딜레마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우선 간단한 처치를 통해 참여자들의 해석수준을 무작위로 조작합니다(상위 해석수준 vs. 하위 해석수준). 그리고 트롤리 딜레마*를 제시한 후, 참여자에게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지 묻습니다. 다만 이때 한 집단에게는 사람을 밀 것인가?”라고 묻고 다른 집단에게는 죄수를 밀 것인가?”라고 물어서 대상자 특성을 조작했습니다.

그 결과 상위 해석수준 조건의 참여자들은 대상자 특성(사람 or 죄수)에 따른 결정의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 해석수준 조건의 참여자들은 사람보다 죄수를 밀겠다는 결정이 유의미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해석수준일 때는 대상자가 누구인지는 덜 중요해 보편적인 정의 원칙을 일관적으로 적용하는 반면, 하위 해석수준일 때는 대상자 특성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며, 대상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정의와 관련한 판단이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상황에 따라, 사람에 따라

연구자들은 이외에도 5개의 추가적인 연구를 했습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추상적인 수준에서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정의 원칙(표현의 자유, 형평성에 따른 분배, 범죄자에 대한 처벌)에 동의하지만, 실제 복잡한 현실에서는 판단의 대상이 되는 개인의 특성에 영향을 받아 정의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음을 일관되게 보여줍니다즉 해석수준에 따라 우리는 정의를 일반적인 원칙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구체적인 대상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의로운 것에 대한 판단이 상황마다 그리고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mind

* 트롤리 딜레마Trolly Dilemma: 사람들에게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의 전체 상황을 제시하고 다수를 구하기 위해 소수를 희생할 수 있는지 판단하게 하는 문제 상황을 가리키는 말

당신은 육교 위에서 트롤리가 달리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는 5명의 인부를 향해 달리고 있다. 무거운 것을 떨어뜨려 트롤리를 멈춰야 하는데, 육교에는 당신과 뚱뚱한 사람(죄수) 한 명이 있을 뿐이다. 당신은 몸무게가 적어 육교에서 떨어져도 트롤리를 멈출 수 없고 뚱뚱한 사람(죄수)을 떠밀 경우 확실히 트롤리를 멈출 수 있다. 그렇다면 뚱뚱한 사람(죄수)을 육교 아래로 밀 것인가?”

   <참고문헌>

  • Avital Mentovich, Daniel Yudkin, Tom Tyler, & Yaccov Trope. (2016). Justice Without Borders: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Construal Level on Moral Exclu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2(10), 1349-1363.
안정민 중앙대 심리학과 사회및문화심리 박사 수료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한국 사회를 꿈꾸며, 사회변화를 위한 개인의 태도 및 인식 변화와 실천에 관심이 있다. 중앙대학교에서 사회 및 문화심리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