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스톤은 정말 인형을 망가뜨렸는가
상태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샘 스톤은 정말 인형을 망가뜨렸는가
  • 2019.10.01 15:00
특정 사물이나 사람에 대해 품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경험한 사건에 대한 암시가 인간의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우리는 적어도 내가 체험한 일에 한해서 만큼은 누군가로부터 전해 들은 일이나 상상 혹은 추측에 지나는 일과는 질적으로 다른 감각적인 형태로 정보를 꽤 정확히 기억해 낼 수 있다고 믿는다. 단순히 관찰한 사건과는 달리 직접 경험했다면 소소한 오정보가 제공되더라도 혹은 매우 그럴듯한 암시가 끈질기게 제공되더라도 그 정보들에 굴복하거나 순응하지 않고 자신의 기억을 잘 지켜낼 수 있다고 믿는다.

샘 스톤 실험

하버드대 심리학과 미셸 라이히트만Michelle D. Leichtman 교수와 코넬대 심리학과 스티븐 세시Stephen J. Ceci 교수는 아동 기억에 관한 이론적 주제와 응용적 주제들을 중심으로 사건 발생 전후의 암시적 정보가 아동 기억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 연구 중 대표 격에 해당하는 '샘 스톤Sam Stone 실험'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만 3-6세의 미취학 아동 196명을 대상으로 ‘샘 스톤’이라는 낯선 남성이 짧은 시간 유치원을 방문한 사건에 대해 기억 면담을 시행하였다. 샘 스톤은 기억에 특별히 남을 만한 유난스러운 행동을 전혀 하지 않고 방문했던 교실을 한바퀴 돌아본 후 조용히 떠났다. 연구진은 이 단순한 사건을 목격한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a) 아무런 실험 처치를 가하지 않는 집단(통제집단) (b) 고정관념을 유발하는 집단 (c) 암시적 정보를 제공하는 집단 (d) 고정관념 유발과 암시적 정보 모두 제공되는 집단, 이렇게 네 집단으로 나누었다.

세 가지의 실험 조건

구체적으로 통제 집단에는 샘 스톤이라는 낯선 성인에 대해 어떤 고정관념이나 암시적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고, 고정관념 유발 조건의 집단은 샘 스톤이라는 낯선 성인이 유치원에 방문하기 한 달 전에 샘 스톤에 대한 인물 정보를 받았다. 예를 들어 샘 스톤은 꽤 친절한 남성이지만 약간 칠칠치 못한 면이 있는 사람이라는 정보를 아이들에게 전달해 주었다. 한편, 암시적 정보 제공 조건으로는 샘 스톤 방문에 대해 암시적인 질문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샘 스톤이 유치원에 있는 곰 인형을 훼손하거나 책을 찢는 것을 직접 보았는지를 질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정관념 유발과 암시적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조건은 위의 두 사항을 모두 제공한 집단이다. 연구진은 각 조건의 아동들이 샘스톤의 유치원 방문 10주 후 면담에서 그 날의 일을 어떻게 회상하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나쁜 사람이 된 샘 스톤

연구 결과, 아무런 실험 조작이 없었던 통제 집단의 아동이 샘스톤 방문에 대해 있었던 사실 그대로 가장 정확한 보고를 하였고, 고정관념 유발 조건과 암시적 질문 제공 조건에서는 상당수의 아동이 샘 스톤 방문 시 발생하지 않은 일에 대해 거짓 보고를 하였다. 고정관념 유발과 암시적 질문이 모두 제공된 조건에서 발생하지 않은 일, 즉 거짓 보고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통제 집단의 경우는 5차 면접까지도 샘 스톤 방문과 관련하여 오정보를 진술한 아동은 없었고, 약 10% 정도만이 면담이 반복적으로 거듭되자 샘 스톤이 곰 인형이나 책을 가지고 나쁜 행위를 하는 것을 보았다는 거짓 진술을 하였다. 반면 고정관념 유발 조건에서는 30% 이상의 아동이 샘 스톤이 곰인형을 훼손하고 책에 나쁜 짓을 한 것 같다고 보고하였다. 물론 샘 스톤이 유치원의 기물을 파손하는 행위를 직접 보았는지 물었을 때 그렇다고 대답하는 아동의 비율은 낮았다. 반면 암시적 질문 제공 조건에서는 샘 스톤의 나쁜 행동을 직접 목격하였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고정관념 유발과 암시적 질문이 모두 제공된 집단에서 나머지 세 집단보다 샘 스톤의 나쁜 행위를 직접 목격하였다는 거짓 응답이 가장 높았다. 연구진은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미취학 아동의 경우 고정관념 유발이나 암시적 정보 제공과 같은 자극에 의해서도 자신의 기억이 쉽게 오염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스페인의 작가 살바도르 달리는 '기억의 지속'이란 이름의 이 작은 작품으로 초현실주의 회화의 중심인물로 떠올랐다. 가장 정확해야 할 것 같은 시계마저 여름철 아이스크림 처럼 늘어진 환상의 세계가 기억의 실체임을 이미 오래전에 깨닫았던 것은 아닐까.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í, 1904-1989. '기억의 지속', 1931, 캔버스에 오일,  24.1 x 33 cm, 뉴욕 Museum of Modern Art 소장.
스페인의 작가 살바도르 달리는 '기억의 지속'이란 이름의 이 작은 작품으로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중심 인물로 떠올랐다. 초현실주의자들은 가장 정확해야 할 것 같은 시계마저 여름철 아이스크림 처럼 늘어진 환상의 세계가 기억의 실체임을 이미 오래전에 깨닫았던 것은 아닐까.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í, 1904-1989. '기억의 지속', 1931, 캔버스에 오일, 24.1 x 33 cm, 뉴욕 Museum of Modern Art 소장.

미취학 아동의 진술

법조계 전문가뿐만 아니라 아동발달 전문가도 진실을 말하는 아동과 거짓을 말하는 아동을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다. 순진무구한 아동이 자신있고 구체적인 진술을 제공할수록 우리는 아동이 실제로 그 사건을 경험했을 것이 틀림없다는 확신이 생겨난다. 경험하지 않고서 그렇게 세부 내용을 생생하게 기억해 내기는 어렵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인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아동의 기억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고 크고 작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 사실과는 다르게 기억이 오염될 수 있다.

특히 오래 전 일이고 특별한 감정을 유발한 일이 아닐수록 우리의 기억은 희미해지기 마련이다. 안타깝게도 수사면담은 사건이 발생 후 즉시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대부분은 수일 혹은 수년 후에 이루어진다. 그 긴 기간 동안 피면담자는 또 다른 새로운 경험과 관찰을 통해 사건 당일 날의 기억이 윤색되거나 퇴색될 수 있다. 거짓말을 하려는 악의적인 의도가 없더라도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우리의 기억은 얼마든지 자발적으로 재구성 혹은 재생산될 수 있다.

인간 기억의 한계와 진술의 정확성

이와 같은 인간 기억의 한계는 한편으로는 우리의 삶을 더 아름답게 기억하도록 도와주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법적 맥락에서 인간 기억의 한계는 기억의 주체가 얼마나 진실되고 정직한 사람인가, 얼마나 명명백백히 무고한 사람인가와 무관하게 누구든지 거짓 보고가 가능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진술의 정확성은 진술자가 기억 대상에 대해 어떤 고정관념을 가졌는지, 어떤 암시적 정보를 사건 발생 전후에 접촉한 적이 있는 가와 같은 내용조차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인간 기억의 한계를 인지하고서 가능한 피해 아동의 기억이 오염되지 않도록 수사면담을 진행하고 신뢰로운 진술을 받는 방안들에 관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ind

<참고문헌>

  • Leichtman, M. D. & Ceci, S. J. (1995). The Effects of Stereotypes and Suggestions on Preschoolers’ Reports. Developmental Psychology, 31(4), 568-578.
이승진 건국대 상허교양대학 조교수 발달심리 Ph.D.
서울대에서 심리학 석사를, 미국 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에서 발달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 상허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심리학과 관련된 교양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아동 기억의 발달적 특성을 토대로 아동 증언의 신뢰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주로 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