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상태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 2020.01.28 10:00
내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감정의 소용돌이들을 그냥 눌러 두지 말고 눈길을 주면서 ‘이름’을 불러 주기. 이름을 불러줄 때 비로소 그것들은 나의 뇌 안에서 아름다운 ‘꽃’들로 풍성하게 피어날 것이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은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아주 어린 시절 암기했던 시 중에서 유독 아직도 일부 암송이 가능한 시가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이다. 통상 이 시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 받고자 하는 소망을 표현하는 시로 이야기를 하는데 본 저자는 다소 엉뚱한 연결을 해보았다.

김춘수 시의 심리학적 해석

며칠 전 뉴욕타임즈에 실린 ‘Go Ahead and Complain. It Might Be Good for You’라는 글을 읽다가 문득 이 시가 떠올랐다. 기사의 내용은 부정적인 감정을 쌓아두는 것은 좋지 않으니 전략적으로 잘 분출해서 해결하는 것이 좋다는 다분히 상식적인 내용이었다. 오히려 김춘수의 시를 떠올리게 한 내용은 ‘당신이 무언가를 하면 할수록 당신의 뇌에서는 더 많은 경로들이 확고하게 형성되어서 그 일을 더욱 더 많이 하게 된다’는 Grice라는 연구자의 글을 인용한 부분이었다.

이는 우리 뇌가 가진 가소성(plasticity)이라는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뇌과학에 약간의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굳이 연구자의 말을 인용하지 않아도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Georgia O'Keeffe, 1887-1986. ‘Ram's Head, White Hollyhock-Hills’, 1935,  Oil on canvas, 76.2 x 91.4cm. ©Brooklyn Museum.
미국의 자연주의 화가 오키프가 숫양 머리뼈 옆에 흰색 접시꽃을 배치시컸다. 죽음과 생명의 조화가 인상적인 작품이다. Georgia O'Keeffe, 1887-1986. ‘Ram's Head, White Hollyhock-Hills’, 1935, Oil on canvas, 76.2 x 91.4cm. ©Brooklyn Museum.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의 구절들을 심리학 이론들과 연결시켜 보니 매우 잘 연결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는 것’은 뇌에 새로운 자극을 주어서 새로운 경로를 만드는 것이며 이 경로를 ‘꽃’이라고 연결하는 것이 큰 억지는 아닌 것 같다.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구절은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의 의미로 연결시킬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기사에서는 불평을 하는 것이 우리에게 부정적 영향만 주는 것이 아니고 관계를 친밀하게 하고 스트레스와 좌절을 잘 처리하게 해주는 순기능도 있음을 강조하였다. 내가 느끼는 현재의 부정적 감정이 구체적으로 어떤 빛깔이고 어떤 향기인지를 정확하게 이름을 붙일 수 있다면 우리 뇌에서는 그 빛깔과 향기에 맞는 새로운 기능적인 경로 ‘꽃’을 만들어 낼 것이다.

내면에서 막연한 부정적 감정의 덩이들이 쌓여 있으나 ‘이름을 불러’ 주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분화된 부정적 감정은 기존에 형성된 매우 익숙한 부정적 경로를 활성화시키면서 우울, 좌절과 무력감으로 이어지거나 충동성과 연결되어 자해 등과 같은 역기능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내 감정에 이름을 불러 주자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한 해를 보냈다는 안도감이 채 가시기도 전에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고 많은 일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 내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감정의 소용돌이들을 그냥 눌러 두지 말고 그 감정들에 눈길을 주면서 ‘이름’을 불러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 와서 ‘꽃’이 된다. 내 뇌 안에서 아름다운 ‘꽃’들이 풍성해 지면서 내 삶이 조금씩 더 행복해 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mind

<참고문헌>

  • Higgs, M.(2020. Jan, 6). Go Ahead and Complain. It Might Be Good for You. Retrieved from https://www.nytimes.com/2020/01/06/smarter-living/how-to-complain-.html?fbclid=IwAR3qzTJBPHpAGgcstBlYWx9_Aako0VX0-kAgPIOjmqFpYFmaLItEN8O3Gbw
송현주 서울여대 심리치료학과 교수 임상심리 Ph.D.
임상심리학 주제중 조현병 환자의 회귀억제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하고 gamification을 활용한 조현병 위험집단에 대한 인지재활치료로 박사후 과정을 하였다. 현재 서울여대 심리치료학과(특수치료 전문대학원)에 재직하고 있다. 임상심리학에 중심을 두고 신경과학을 융합하는 연구에 주요 관심을 두고 있으며 주의력, 실행기능, 인지조절력과 정신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신장애의 조기진단과 치료적 책략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앱기반 아동 청소년 대상 일차 심리평가 게임 '코콘'을 개발하였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