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자의 기대와 확신이 주는 힘
상태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료자의 기대와 확신이 주는 힘
  • 2020.03.03 10:00
환자들이 치료에 대해서 갖는 기대만으로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위약 효과 (placebo effect)라고 한다. 위약 효과는 환자에 의해서만 나타날까? 최신 연구에서 치료자의 기대가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치료 효과로 전달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환자의 기대

환자들은 의료서비스를 받으러 갈 때 저마다 다른 기대를 안고 갑니다. "지금 몇 달째 약을 처방받았는데, 증상이 하나도 호전되지 않았어", "저번에 아플 때 이 병원에서 주사 맞았더니 바로 나았어, 이번에도 그렇겠지?" 등과 같이 직간접적인 경험에 기반하여 기대를 합니다. 물론 증상을 완화시키기는 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치료와 처치이지만, 그만큼이나 치료 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입니다. 치료를 받으러 갔는데 치료자가 영 미덥지 않고, 이 치료는 뭔가 효과가 없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던 사람들보다는 치료를 통해서 나을 것이라는 기대를 한 사람들이 더 빨리 낫는다는 이야기입니다.

환자가 치료를 통해서 증상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는 것만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는 위약 효과placebo effect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효과가 없는 가짜 약을 먹었을 때도 기대했던 치료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때로는 위약 효과가 너무 강력하기 때문에, 신약 효과를 검증할 때 환자들에게 자신이 실제 효과가 있는 약을 받았는지, 아니면 위약을 받았는지 모르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치료자의 기대

빨리 병을 낫기를 바라는 것은 환자 뿐만은 아닙니다. 치료자 역시 자신이 제공하는 치료가 환자의 증상을 완화 시켰으면 하는 강력한 소망과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자 뿐 아니라 치료자가 처치 또는 약물에 대해 가지는 기대 역시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치료자가 어떤 환자가 위약을 받았는지, 실제 치료를 위한 약물을 받았는지 알고 있는 경우, 은연중에 치료자의 태도에서 치료에 대한 확신이나 기대가 드러나고 이러한 태도가 환자에게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많은 신약 실험에서는 이중암맹double blind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자도 자신이 어떤 환자에게 위약을 제공하는지 처치를 제공하는지 모르게 합니다.

빈센트 반 고흐가 귀를 짜른 후 아를의 정신병원에 입원했을 그를 돌보았던 28살의 젊은 의사(인턴) 펠릭스 레이의 모습이다. Vincent van Gogh. 'Portrait of Doctor Felix Rey', 1889. Oil on canvas 64.0 x 53.0 cm, Pushkin Museum, Moscow. 

기대의 전달

이처럼 치료자가 가지는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가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현상은 사람 간에 발생하는 기대 효과interpersonal-expectancy effects로 정의되어왔습니다. 거의 모든 의료서비스는 치료자-환자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치료자가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치료에 대한 확신이나 기대감이 은연중에 환자에게 전달되는 일이 생기며,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많이 관찰됐지만, 치료 앞에서 환자가 가지는 기대, 치료자가 가지는 기대, 그리고 실제 처치에 따른 치료 효과는 뗄 수 없이 뒤섞여 있어서 실제로 치료자가 가지는 기대가 어느 정도로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재하였습니다.

환자는 치료자의 표정을 읽고 있다

Chang 교수 연구팀은 정교한 실험 디자인을 활용하여 치료자가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 약물에 대해 가지는 기대를 조작하고, 그 기대감에 따라서 환자가 느끼는 약물의 통증 감소 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습니다(실제로 투여되는 약물은 동일한 수준의 효과가 있었지만, 각각 의사들은 다른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믿게끔 만든 실험입니다)Chen et al, 2019. 통증을 줄여주는 약물을 투여하는 의사가 그 약물이 더 효과적이라고 기대하고 있을수록 환자 역시 약물의 효과에 대해서 높은 기대 수준을 보였습니다. 또한, 약물의 효과에 대해 기대를 많이 할수록 통증 감소 효과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실험에서의 주요 처치는 의사가 약물에 대해서 얼마나 효과 있다고 믿게 만드는지 여부였는데, 의사가 약물이 더 효과적이라고 믿을수록 그들의 표정에서 미세한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표정 변화에 따라서 환자들은 자신이 의사로부터 더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료자가 어떤 기대를 하고 있는지가 치료자-환자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보다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한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치료자가 가지는 확신과 기대의 중요성

치료자도 사람이기에 개인이 가진 성향에 따라서 동일한 치료를 제공하더라도 저마다 다른 태도로 진료합니다. 어떤 사람은 조금 딱딱한 방식으로 환자와 소통할 수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조금 더 친근하거나 가볍게 환자를 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환자들의 만족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이 Chang 교수 연구팀의 연구는 근본적으로 치료자가 가지고 있는 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어떻게 환자에게 전달되는지 과정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심리치료의 경우 약물 치료와 달리 치료자가 주체가 되어서 치료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치료자가 자신이 제공하는 치료에 대해 가진 확신과 기대가 주는 힘도 치료에 도움이 된다면, 우리는 이 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mind

<참고문헌>

  • Chen, P. H. A., Cheong, J. H., Jolly, E., Elhence, H., Wager, T. D., & Chang, L. J. (2019). Socially transmitted placebo effects. Nature Human Behaviour, 3(12), 1295-1305.
김혜린 서울대 심리학과 임상심리 박사수료
서울대 심리학과 임상심리학 전공 박사과정 학생이다. 최진영 교수님의 지도를 받으며, 노년기 사회적 고립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사회적 고립상황에서 관찰되는 뇌 반응과 지각된 외로움 수준의 개인차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