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의 탄생은 현재 인류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 오고 있다. 나보다 글을 잘 쓸 수 있는 생성형 언어모델과 함께 사는 미래에서의 글쓰기란 어떻게 변화할까?
소크라테스의 명언 '너 자신을 알라'. 나란 무엇이고, 어떻게 내가 내 자신을 알 수 있는가? 윌리엄 제임스의 자아관을 중심으로 생각해 본다.
AI는 이젠 우리의 일상에 깊숙히 침투해 버렸다. AI 시대에서 인간의 마음을 다루는 심리학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초고령 사회를 눈 앞에 둔 지금, 초고령 노인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이제 우리 삶에 너무나도 깊숙히 침투된 디지털 컨텐츠. 우리는 이 디지털 컨텐츠에 중독된 좀비로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좀비에서 사람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오늘도 깜박했을까? 모든 것을 머리 속에 저장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건 불가능하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들을 소개해 본다.
11.3세 처음으로 도박을 경험하게 되는 평균 나이이다. 이제 청소년들에게 너무 깊숙히 침투해 버린 도박. 그들은 스스로 그 수렁에서 빠져 나올 수 있을까?
‘잠은 보약이다’라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잠을 많이 자는 것이 노인에게 도움이 될까?
투입대비 최대의 효과를 내는 '가성비'가 교육의 중심을 차지한 오늘. 과연 학교를 정글로 만들고 있는 것은 누구인가?
카똑! 카똑! 지금은 인지능력 게임을 수행해야 할 시간입니다!
이젠 소셜미디어에도 퍼져있는 노인혐오. 하지만 오늘도 노인 크리에이터들은 연령에 대한, 노인에 대한 편견에 당당하게 저항하고 있다.
심리학자들은 MBTI를 안 좋아한다. 그런데 정말 MBTI는 그렇게 나쁜 검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