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끼리 운전 가르쳐주면 안되는 이유
상태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부끼리 운전 가르쳐주면 안되는 이유
  • 2019.11.19 11:00
많은 분들이 아는 사람으로부터 운전을 배우다가 마음 상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운전할 때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사람을 조심하라는 말도 있지요. 왜 우리는 운전할 때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일까요?

운전하면 나타나는 본모습?

요즘 제 아내는 운전 연수 중입니다. 지난 주말 아내에게 운전 연습을 시켜주다가 (당연하게도) 싸웠습니다. 평소에는 잘 싸우지 않는 편인데도 이 날은 여지없었습니다. 흔히들 말하는 ‘부부 사이에는 운전 연습 시켜주는 것이 아니다’라는 금기를 어긴 제 잘못이라 생각했습니다. 임상심리학자인 저는 괜찮을 줄 알았거든요.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관련 지식을 알려주는 것이 직업인 저로서는 잘 모르는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이 익숙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게 심리학을 가르칠 때는 화가 나지 않는데, 왜 아내에게 운전을 가르칠 때는 화가 나는 것일까요?

근대적 자동차의 원형으로 인정받고 있는 3륜 차량이다. 독일인 칼 벤츠Karl Benz, 1844~1929가 1885년에 처음 만들어 특허를 획득했다. 3년 뒤 4륜 자동차로 발견시켰는데, 이 차를 몰고 처음 장거리 운전을 한 사람은 그의 부인 바르싸 벤츠Bartha Benz라고 한다. 누가 그녀에게 운전을 가르쳤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근대적 자동차의 원형으로 인정받고 있는 3륜 차량이다. 독일인 칼 벤츠Karl Benz, 1844~1929가 1885년에 처음 만들어 특허를 획득했다. 3년 뒤 4륜 자동차로 발견시켰는데, 이 차를 몰고 처음 장거리 운전을 한 사람은 그의 부인 바르싸 벤츠Bartha Benz라고 한다. 누가 그녀에게 운전을 가르쳤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이 ‘운전할 때의 사람을 봐야 그 사람의 진짜 성격을 알 수 있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평소에는 점잖고 멀쩡하게 구는 사람들도 운전할 때는 사소한 것에도 욕을 심하게 하거나, 난폭 운전이나 보복 운전 등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말들이 생긴 거라 생각합니다. 즉, 이런 난폭한 모습이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이니 조심하라는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경험은 몇몇의 실제로 난폭한 사람들만의 경험은 아닙니다. 우리는 흔히 운전할 때 모습이 평소 자신의 모습과 다른 것을 발견하고 놀라기도 합니다. 운전할 때 우리는 대체 왜 그러는 것일까요?

운전은 머리를 많이 쓰는 행위

운전은 생각 외로 인지 기능 소모가 큽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운전할 때 생각보다 머리를 많이 쓰고 있다는 뜻입니다. 운전에 사용되는 인지 기능은 대부분 전두엽 기능입니다. 전두엽은 계획을 세우고 이에 맞게 실행하며, 충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운전할 때는 다양한 도로의 상황을 예측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순간순간 바뀌는 도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일에도 빠르게 대처해야 하고 짧은 시간 동안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이렇듯 우리는 운전할 때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을 쓰고 있습니다. 운전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대부분의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는 것일 뿐, 운전은 기본적으로 전두엽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안타까운 사실이지만, 우리의 인지 능력의 용량은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을 할 때, 운전 이외의 행위를 하기에는 우리의 인지 용량이 많이 모자랍니다.

아무리 운전을 잘 하는 사람이라도 한 손으로 전화 통화를 하면서 운전하지 말라고 하는 이유도, 남과 통화를 하며 한 쪽 손을 운전 이외의 것에 쓰는 행위가 인지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 인지 기능이 필요한 돌발 상황에 대처를 잘 할 수 없게 되어 사고 확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매일 가던 익숙한 길의 경우에는 동승자와 이야기를 하거나 노래를 부르면서 가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낯선 길을 갈 때는 갑자기 운전에 집중해야 하고 이야기를 지속하기 어려운 것도 낯선 길을 가는 것이 평소보다 인지 기능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활동을 같이 하면서 진행하기에는 인지 용량이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화를 참는 것도 머리를 쓰는 일

우리가 화를 참을 때도 전두엽 기능이 필요합니다. 욱했음에도 이를 참고 부드럽게 얘기할 때도 전두엽의 인지 능력이 필요합니다. 남의 거친 운전에 보복운전을 했을 때 생기는 결과를 예측할 때도 전두엽 기능이 필요합니다. 욕을 하고 싶지만 일단 참아내는 능력에도 전두엽 기능이 투자됩니다. 그러나 운전을 할 때는 이미 기본적으로 전두엽 기능을 많이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두엽의 이런 ‘실행 능력executive function이나 ‘억제력inhibition’을 발휘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인지 용량이 많이 남아 있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평소 보다 쉽게 화를 내거나, 위험한 보복 운전을 하거나, 곧 후회할 수 있는 말들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자신의 본래 성격이 엄청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제가 아내에게 운전 연수를 시켜 주다가 화를 낸 것도 비슷합니다. 저는 (사고가 날 수도 있으니) 평소보다 긴장돼 있었고, 아내의 운전을 포함한 주의 환경에 주의를 크게 기울이고 있었으며, 좋은 운전 선생이 되고 싶었고, 다른 부부와는 달리 운전 교습 도중 싸우지 않겠다는 목표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눈치 채셨겠지만 이 모든 목표는 전두엽 인지 기능을 크게 소비하는 행위였습니다. 그래서 평소 같았으면 가볍게 억제하고 갈 것에도, 크게 화를 내고 소리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그 당시에는 이 행동이 끼칠 결과에 대한 고려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5분만 지나도 땅을 치며 후회할 행동을 해 버리고 말았던 것이지요.

성격이 문제가 아니라 용량의 한계가 문제

내가 왜 화를 냈는지 아내에게 이렇게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내 성격 탓이 아니라고. 내 전두엽 용량의 한계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났을 뿐, 성격 문제는 아니라고. 능력이 모자란 것을 탓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그러나 이렇게 얘기하면 아내의 화는 풀리지 않을 겁니다. 이럴 때는 역시 아내가 왜 기분이 상했는지를 충분히 듣고, 이해하며, 공감한 후, 진실되게 잘못했다고 이야기하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에게라도 말씀드립니다. 제 적디 적은 전두엽 인지 용량의 한계 때문에 그런 것일 뿐, 제가 성격이 이상해서 그런 것은 아니라고요. 그리고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 그렇습니다. mind

 

안정광 충북대 심리학과 교수 임상심리 Ph. D.
충북대 심리학과 조교수로 한국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공인 인지행동치료 전문가이다. 고려대 심리학과에서 임상 및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고 서울대병원에서 임상심리전문가 수련을 받았다. 서울대병원 암병원에서 암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심리 상담을 하였으며, 고려대 사회불안장애 상담센터, KU 마음건강연구소에서 인지행동치료를 해 왔다. 인지행동치료 효과 비교 연구, 심상을 활용한 치료 기법 연구 및 치료 기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역서로 ‘정서도식치료매뉴얼: 심리치료에서의 정서조절(2019)’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kiva 2021-11-18 10:02:23
유익하고 알기 쉬운 글 감사합니다.
글 자체의 주제도 좋지만 마지막 문단의 충분히 듣고 공감하고 진솔하게 대하라는 문장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네요.

Kxxk 2020-01-11 15:52:10
재미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저는 그냥 과부하라고 생각했는데, 인지기능에도 용량의 개념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네요. 궁금한 점이 생기는데 사람들의 보통의 용량은 얼마나 되는지요(용량이라고 하면 단위도 있을텐데 단위는 뭔지 모르겠네요)? 마음이 너그러운 사람은 인지용량이 큰 사람인가요?
보복운전을 예로 드셨는데 , 보복운전은 심각한 범죄라고 생각합니다만 이것도 그 사람의 인격문제가 아니라 뇌가 바빠서 그렇다는 말씀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인지요.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Nash 2019-11-19 17:18:54
아주 유익한 글 잘 읽었습니다!